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경단협 활동

국내 유일의 업종별 경제단체 공동협의기구

경단협의 목소리


[상장협] 진정한 ESG경영 정착 위한 과제

관리자 2021-08-03 조회수 265

정우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정책부회장 




최근 기업의 최대 화두 중 하나이고, 각종 언론 매체에서 하루도 빠지지 않고 오르내리는 단어는 'ESG(환경·책임·투명경영)'다. 최신 트렌드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기업들로서는 서둘러 ESG위원회를 신설하며, 각종 단체와 언론사 등에서는 관련 포럼을 개최하고 정부도 국내 기업 사정에 맞는 K-ESG 기준을 만들겠다며 분주하다. 혜성처럼 나타난 ESG에 대한민국 전체가 대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양새다.


ESG가 급부상한 배경에는 기관투자자들이 있다. 국내외 대표적인 연기금이 기업의 ESG 평가 결과에 따라 투자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선언한 것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주주 이익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기업 지배구조를 뜯어고쳐 기업과 관련된 환경, 소비자, 지역사회 등을 살피는 이해관계자 중심의 ESG경영을 해야 지속가능한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ESG의 부상을 외면할 수 없는 기업들은 나름 대응 전략을 세우고 있지만 실상은 만만치 않다. 사실상 ESG의 개념이나 실체가 불분명하고 아직까지 ESG 평가에 대한 글로벌 표준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전 세계적으로 ESG 평가기관이 600개 이상이고 평가 방식과 요소도 다양하다는 지적이다. 난립하는 ESG 평가 기준과 그만큼 천차만별인 평가 결과 앞에서 기업의 혼란스러움은 더욱 가중되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발간하고 있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는 2020년 기준 130여 개에 이른다. 아직 의무사항도 아닌 내용을 공들여 발간하는 데에는 회사가 스스로 필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일 것이다. 필요가 있으니 보고서를 발간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노력한 내용을 외부에 알리고 있다.


이런 자발적인 노력으로는 부족하다며 모든 기업에 ESG의 급물살에 올라타라고 종용하는 모양새다. 혼란은 애써 외면한 채 기업 외부에서는 ESG경영 선진국들의 사례를 소개하며 국내 기업들도 하루빨리 그들을 따라가야 한다고 아우성이다. 기업의 존재 이유인 이익 창출을 뒤로한 채 거시적 차원의 문제를 최우선 해결 과제로 둘 수는 없음이 자명한데도 말이다.


쏟아져 나오는 국내 ESG 관련 정책은 기업의 ESG 관련 정보 공개를 강제·의무화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21대 국회 출범 이후 ESG 관련 법안이 100건 넘게 발의됐으나 아직 개념과 평가 요소 및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다. 또한 ESG를 선도하는 국가나 국제기구에서도 정보 공개 기준의 국제적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한국형 ESG의 선제적 도입에만 집착해 급하게 정책을 추진한다면 기업들에 혼란만 더해질 것이므로 신중해야 할 것이다.


ESG는 투자자가 투자 정책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중 하나라는 것이 본질이다. 현재 진행 중인 ESG 정보 공개 기준의 국제적 표준화 논의 상황을 분석해 국제적 방향을 같이할 수 있도록 시간을 둬 고민하고 도입을 추진해야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ESG를 강제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ESG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 이익 창출을 통한 사회 공헌이라는 기업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좋은 기업들이 오래도록 지속가능'해지는 진정한 ESG가 실현될 것이다.



출처: 매일경제



바로가기











회원단체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